전체 글61 직계존비속의 범위 꼭 알아두세요 부동산 청약 조건과 임대차 3법을 살펴보다 보면 직계존비속이라는 단어가 자주 보이는데요. 직계존비속의 범위가 청약 조건과 임대차 3법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자세하게 정보를 공유해 드려 볼게요. 직계존비속의 범위 국어사전에 의하면 직계존비속이란 혈연을 통해 친자 관계가 이어져 있는 직계존속과 직계비속을 뜻합니다. 직계란 수직적인 혈족 관계를 뜻하기 때문에 형제, 자매는 직계존비속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직계존속 직계존속이란 조상으로부터 직선으로 계속하여 자기에 이르기까지의 혈족을 뜻합니다. 나를 기준으로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와 같이 위의 계열이 있는 이들을 직계존속이라고 부릅니다. 직계존속은 친가, 외가 구분 없이 할머니, 할아버지, 외할머니, 외할아버지 모두 포함됩니다. 반면 배우자의 부모인 장인.. 2020. 11. 27. 장기보유 특별공제율 알아보기 장기보유 특별공제율이란 보유 기간이 3년 이상인 토지나 건물에 대하여 양도 소득 금액을 산정할 때 양도 차익의 일정 금액을 보유 연수별로 공제해주는 제도의 공제율입니다. 장기간 주택을 보유한 사람들에게는 양도소득세 부담을 덜어주고 단기 부동산 투기를 방지하면서 부동산 투자를 건전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장기보유 특별공제 대상 장기보유 특별공제 대상은 기본 3년 이상 보유한 건물과 토지로 9억원 초과 고가 1주택 보유자, 비사업용 토지, 조정대상지역 외 1세대 다주택자인 경우 장기보유 특별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9억원 이하의 1세대 1주택은 비과세 대상이며 조정대상지역의 다주택자나 미등기의 자산인 경우 장기보유 특별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장기보유 특별공제 보유 기간 장기보.. 2020. 11. 26. 양도세 신고기간 및 신고방법 양도소득세 또는 양도세란 재산의 소유권을 양도하면서 발생하는 소득에 대해 부과하는 조세를 뜻합니다. 양도세 신고기간 내에 성실하게 양도세를 신고하지 못한다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니 반드시 신고기간 내에 신고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양도세 신고기간 양도세 신고기간은 크게 예정신고와 확정신고로 구분되어 있으며 소득종류에 따라 기간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예정신고 토지 또는 건물, 부동산에 관한 권리, 기타 자산은 양도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2개월 이내 신고 및 납부하셔야 하고 주식 또는 출자 지분은 양도일 속하는 반기의 말일부터 2개월 이내 신고 및 납부하셔야 합니다. 부동산 양도세 신고기간 '19년 2월 11일인 경우 → '19년 4월 30일까지 주식 양도세 신고기간 '19년 2월 11일인 경.. 2020. 11. 25. 증여 취득세율 총정리 2020년 7월 28일 다주택자 및 법인의 주택 취득세율 강화 등을 위한 '지방세법' 개정안이 의결되었는데요. 주택 양도세, 취득세율 강화에 따라 주택 증여 취득세율 또한 강화되었는데 어떤 점이 바뀌었는지 정보를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증여 취득세율 강화 2020년 8월부터 조정대상지역 내에 공시가격 3억원 이상 주택을 증여하는 경우 증여를 받은 자가 내는 증여 취득세율이 이전 3.5%(지방세 등 포함시 4%)에서 12%(지방세 등 포함시 14.2%)로 강화되었습니다. 조정대상지역 외 주택의 경우에는 이전 3.5% 세율이 그대로 적용됩니다. 단 투기 수요와 관계없는 1세대 1주택자가 배우자, 직계존비속에게 증여하는 경우에는 조정대상지역이라도 3.5%가 그대로 적용됩니다. 그리고 증여 취득세는 증여세와는 별.. 2020. 11. 25. 이전 1 ··· 11 12 13 14 15 16 다음